학교 생활을 거쳐 직장 생활을 하기까지 여러 핑계를 대며 책 읽기를 소홀히 해 왔던 나, 시간이 지나 읽었던 책의 내용을 떠올려 보면 어느 부분을 읽고 그 부분에 대해 곱씹어 보았는지 그 생각은 나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희미하게 조차 떠올리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책을 잘 활용하는 사람들의 책 읽는 습관을 찾아보고 그 중에 나에게 맞을 것 같은 방식을 지금부터라도 찾아 보고 실천해 보고자 한다.

 


[청울림 유튜브] -당신이 책을 읽어도 남지 않는 이유
오늘 아침 유튜브를 보다가 자신의 독서법을 강연하는 6분 가량의 영상 당신이 책을 읽어도 남지 않는 이유를 보고 매우 어렵지 않지만 활용성은 뛰어 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강의를 요약해 본다.

읽기단계: 80% 이상의 사람이 멈추는 이 단계에서 독서를 끝냄
쓰기단계(필사):  본인이 마음에 들었던 구절이나 밑줄 친 부분을 옮겨 적는 것 (이전까지 1단계인 읽기 단계에서 독서를 마무리하곤 했던 나를 반성하며, 에버노트/원노트 등의 모바일 메모 기능으로 2,3단계를 실천하고 블로그를 통해서 4단계를 실행 하고자 한다.)      
포인트: 쓰기를 통해 여러 번 읽는 효과가 나타남
생각하기: 새롭게 느낀 것, 새롭게 알게 된 것들에 대해 더욱 깊이 생각하고 알아보는 단계
포인트: 타인의 생각과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 들이는 단계

출력하기: , 말 등을 통해 자신이 이해한 내용을 출력
포인트: , 말 등을 통해 출력하면 잘 기억하게 되고, 내 것으로 저장 할 수 있음
 
[독서천재가 된 홍대리]
이 책은 아직 읽어보지 않았으나 많이 회자되는 책이라 요약된 글로 대신하고 추후에 읽어 봐야겠다.
아래와 같이 요약된 내용을 재편집 해보았다.

 

 

 

독서의 단계 
  1. 프로리딩: 자기분야에 관한 책 100권 이상을 읽어서 3000년의 내공을 쌓는 독서
  2. 슈퍼 리딩: 1 365권 자기계발 독서 프로젝트를 통해 성공자의 사고방식을 갖는 독서
  3. 그레이트 리딩: 인문고전 독서를 통해 리더로 거듭나는 독서
자신한테 맞는 독서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1. 독서법 첫 단계는 독서 습관을 제대로 잡는 것
  2. 처음 재미를 느끼더라도 지루해진 순간, 거기에서 그만 두지 않고 계속 해나가면 습관이 된다
  3. 독서 슬럼프 극복 방법 세 가지 (멘토를 만난다/동지를 만난다/도서관에 간다)
어떻게 읽느냐?
  1. 업무 분야의 고전으로 꼽히는 책을 한 달마다 10권씩 산다.
  2. 1주일에 2권씩 읽는다.
  3. 반드시 알아야 할 부분에는 밑줄을 치고 여백에 자신의 생각을 적는다.
  4. 한 챕터씩 요약정리하고 중요한 내용은 따로 메모하거나 녹음한 후 출퇴근 시간을 이용해 읽고 들으면서 자신의 것으로 소화한다.
  5. 주말마다 두 권의 책에 대한 리뷰를 쓴다.
 
필자 인터뷰
자신만의 독서법이 있으신가요?
전 목적 있는 독서를 강조해요. 아무리 책을 많이 읽어도 읽는 것만으로 끝난다면 의미가 없죠. 독서를 통해 사고력을 키우고 자신의 삶에 적용해서 변화를 이끌어내야 진짜 독서라고 생각해요. 확실한 독서 마인드를 갖고 공격적으로 임하죠. 제간 독서 메모장이 있는데 책을 읽을 땐 반드시 이 수첩을 펴두고 읽어요. 책의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긋고 페이지를 접어두었다가 필요한 부분은 따로 수첩에 옮겨 적어요. 기억은 틀릴 수 있지만 메모한 것은 틀림없으니까요. 그리고 A4 한 장에 중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요약한 후 파일에 따로 정리해두죠. '원 북 원 페이지' 라고나 할까. 이렇게 해두면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와 액션 플랜을 뽑아낼 수 있거든요, 철두철미하게 읽고 반드시 인사이트를 찾는 독서, 그걸 제 식으로 '콘텐츠 독서'라고 부르는데 철저한 실용 독서죠.
 

 

 

독서를 통해 이룬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인가요?
그야말로 제 삶 전체에요. 평범한 직장인이던 제가 최고경영자가 되었고, 독자에서 저자가 되었고, 대학에서 강의도 하게 되었으니 독서를 안 했다면 불가능했을 일이 차례로 이뤄진 거예요. 꿈이 현실이 되는 경험을 한 거죠."
왜 독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세요?
독서의 필요성을 못 느낀다는 건 이 사회에서 벌어지는 생존게임의 살벌한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따는 얘기에요. 책을 읽으면 좋다는 막연한 이야기가 아니라 독서는 생존 자체니까요. 생각을 키우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독서는 필수죠.
인터뷰 마지막 말이 참으로 나를 반성하게 한다. 독서는 생존 자체니까요. 생각을 키우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독서는 필수죠!! 독서 지금부터 가까이 하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