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시대의 임금들은 여러 [자, 휘, 호, 존호, 시호, 묘호, 능호] 호칭을 가지는데 휘와 묘호에 대해서 이해를 하고 있으면 조선시대와 좀 더 친해 질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휘와 묘호에 대해 요약해 둔다.
휘(諱) : 왕의 이름이다. 일반 서민들은 왕의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 없었기에 잘 쓰지 않는 특이한 글자로 이름을 만들었고, 조선시대 사람들은 실수 하지 않기 위해 역대 조선왕의 이름을 외우고 있었다고 한다. 다음으로 역사시간에 많이 접하는 묘호에 대해서 알아보자.
묘호(廟號)는 왕이나 황제가 죽은 후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쓰는 호(號)를 말한다. 이러한 묘호를 정하는 법에는 원칙이 있었는데 조선 전기와 후기에 차이가 생겨난다.
조선전기에는 왕의 대를 이을 경우 [종]을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조]를 사용했다고 하고 조선후기로 넘어가며 ‘공이 있는 이는 조(祖)로 하고, 덕이 있는 이에게는 종(宗)으로 하니..’라는 법칙이 ‘예기’를 통해 전해져 내려온다고 한다. 또한 왕에서 폐위된 경우에는 [군]을 붙이기도 했는데 조선 27대 왕 중, 연산군과 광해군 두 명이 유일하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검정(조) ⇒ [전기: 태조, 세조, 선조] [후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빨강(종) ⇒ [전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예종, 성종, 중종, 인종, 명종]
[후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헌종, 철종, 고종, 순종]
단, 노란마크는 조선후기 덕보다는 공을 많이 세운 것을 좋게 여겨 후대에 종에서 조로 변경된 케이스이다.
조선시대의 왕의 자녀들은 아들과 딸, 그리고 적자와 서자에 따라 국가적 대우가 달랐다.
왕의 정부인인 왕비가 출산한 자녀들이 적자(嫡子)로 아들이면 대군(大君) 딸이면 공주(公主)에 봉해졌다고 한다. 왕의 후궁들이 출산한 자녀들은 서자(庶子)로서 군(君)과 옹주(翁主)가 된다. 또한 대왕대비와 왕대비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면, 보통 왕의 할머니를 대왕대비 그리고 어머니를 왕대비로 불렀다고 한다.
지금과는 다른 호칭으로 역사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 호칭과 익숙해 지지 않았었는데 정리하고 나니 한결 가벼운 마음으로 역사물을 접할 수 있을 것 같다. [태정태세문단세]까지만 외우고 있었는데 이 참에 [예성연중인명선] 이후도 암기해 보아야겠다.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대행시 KC인증 받아야 하는걸까? (0) | 2019.03.21 |
---|---|
오피스텔이랑 도시형생활주택은 다른 건가? (0) | 2019.03.06 |
영화 속 역사 [관상] (1) | 2019.02.27 |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0) | 2019.02.25 |
책 읽는 법에 대해 나는 한번이라도 고민해 본 적이 있었던가? (0) | 2019.02.14 |